일본 산업기술 종합 연구소(AIST)는 2008년 3월 4일,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변환효율이 11.0%로 높은 탠덤(Tandem)형 색소증감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색소 증감 태양전지는 실리콘 반도체나 기존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 없기 때문에 염가의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기대되고 있다.

이번에 실현된 고효율 광전 변환효율은 기존 색소증감 태양전지들의 효율을 넘는 것으로, 향후 최적 증감 색소 개발을 진행시켜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저비용화를 진행, 실용화를 목표로 할 것이라 한다.

텐덤형 색소증감 태양전지는 두 종류의 색소증감 태양전지를 중첩하여 상부 전지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하부 전지로 근적외광으로부터 적외광을 흡수한다. 이 구조에서는 상부 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면서 근적외광을 그대로 투과시킬 필요가 있다. 연구소는 이번에 투과성이 높고 기전력이 큰 산화티탄 전극 제작에 성공해 이것을 텐덤형 전지 개발의 상부 전지로 이용했다. 또한 하부 전지에는 다중 적층 구조의 반도체 막을 이용함으로써 빛을 최대한 막아 전류를 향상시켰다.

또한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누설전류 억제 수법도 개발됐다. 색소증감 태양전지는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고 옥소 용액을 개입시킨 전기 화학적인 셀 구조가 특징으로 습식 태양전지라고도 불린다.

91 [고객소식] 호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지원단장에 남기석교수 선임
90 [고객소식] 대구시-동진쎄미켐, 그린에너지산업 협약
89 충주대 ‘고집중 태양광 태양전지 실증단지’ 설치
88 [고객소식] 삼성전자-금오공대, 세계 최초 투명 플렉서블 나노전력발전소자 개발
87 [고객소식] 삼성전자-금오공과大 '나노전력발전소자' 개발 성공 (금오공과대학교 김상...
86 [고객소식] 국산 태양전지업체, 광변환효율 10% 벽 넘었다 (텔리오솔라코리아)
85 야유회
84 [고객소식] 우리솔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장비 개발
83 문승현 GIST 솔라에너지연구소장 "신재생에너지 원천기술 개발에 총력"
82 Dye-sensitised Solar Cell (DSC) technologies are on the brink of commercialisation.
81 [고객소식] 효율 3배 높은 차세대 태양전지 우리가 만든다 (한양대 이정호교수님)
80 [고객소식] 토인 요코하마 대학 대학원 공학연구과 미야자카교수
79 [고객소식] SSCP, 일본 태양전지 EXPO 행사
78 [고객소식] 프리샛, 태양전지업체 흡수합병
77 [고객소식]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상업화 눈앞 - 텔리오솔라, 기술개발…제조단가 기존...
76 [고객소식] 이건창호 `태양전지 특허` 무사히 따낼까?
75 [고객소식] KIST, 염료감응형 광증폭 태양전지 개발
74 경기도, 유기태양광 패널 생산 2200만달러 투자협약
73 염료감응태양전지 상품화에 시동 건 (주)세아이앤티
72 효율성을 2배로 향상시키는 양면 태양 전지

LOGIN

SEARCH

MENU NAVIGATION